마트나 떡집을 가면 형형색색 보기에 예쁜 떡들이 참 많지요. 나만의 취향대로 만들수 있는 떡이 없을까 생각하다 쫀득쫀득한 찰기와 담백한 맛으로 그냥 먹어도 맛있고 떡와플, 꽃산병, 떡꼬치등으로 다양한 요리로도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만들어 봤어요. 이 맛있는 떡을 조리 없이 간편하게 즐기실 수 있도록 말랑떡으로 만들었어요. 유기농멥쌀과 단호박, 홍국쌀, 쑥으로 자연의 색을 입힌 건강한 떡이랍니다. 자연해동만으로 말랑말랑 찰기 가득한 떡을 맛볼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한 한끼로, 아이들 간식으로 좋은 싸리재의 내맘대로 말랑떡으로 별미간식을 준비하세요~
...........................
내맘대로 말랑떡 100% 즐기는 방법
▶ 추석 명절에 불 없이 송편 만들기 ~
다양한 모양의 송편을 빚어보세요. 해동 후 바로 먹을 수 있는 떡으로 열을 가하지 않아도 되니 학교나 유치원에서 체험학습 재료로 사용해도 안전하답니다.
▶ 유치원, 학교에서 체험학습 재료로 ~
말랑떡으로 조물조물 다양한 모양의 떡을 빚어보세요. 다양한 색감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만들어 볼 수도 있어요. 해동 후 바로 먹을 수 있는 떡으로 열을 가하지 않아도 되니 학교나 유치원에서 체험 학습재료로 사용해도 안전하답니다. 보들보들 말랑말랑한 질감으로 우리 아이들 촉감놀이로 딱이랍니다.
▶ 11월 11일 가래떡데이에도
11월11일 가래떡 데이에도 다양한 토핑으로 나만의 가래떡을 만들어 보세요.
말랑떡을 길게 만든 후 조청을 얇게 발라 아몬드, 깨, 잣, 초콜릿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세요.
만드는 순서 1. 말랑떡을 상온 해동 후 각 반죽을 4등분을 해주세요. 2. 말랑떡을 길게 만든 후 꼬지를 꽂아주세요. 3. 조청이나 꿀, 초콜릿을 떡에 묻힌 후 원하는 토핑을 묻히면 완성!
▶ 음력 3월 3일 삼짇날, 화전 만들기
본래 화전은 찹쌀 반죽을 프라이팬에 구워 꽃을 붙이는 전통 음식입니다. 그렇지만 뜨거운 불 위에서 지지고 꽃을 붙이는 활동을 하려면 번거롭지요. 더구나 화상의 위험이 있으니 너무 조심스럽습니다. 4월은 먹을 수 있는 봄꽃이 많아요. 화전을 체험하고 먹을 수 있는 이쁜 꽃떡을 간편하게 만들어보세요.
▶ 알록달록 바람떡 만들기
▶ 다양한 무늬의 꽃산병 만들기!
다양한 전통 떡살무늬로 예쁜 모양을 찍어 보세요. 만드는 재미, 먹는 재미가 쏠쏠합니다.
...........................
▶ 고소하고 바삭한 와플로~
말랑떡을 와플기에 구워주시면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맛있는 간식이 됩니다.
▶ 조청에 콕! 찍어 달달한 간식으로~
담백한 떡으로 그냥 드셔도 맛있지만 조청과 함께라면 아이들 입맛을 사로잡을 거예요.
▶ 아이들이 좋아하는 떡꼬치로~
말랑떡을 길게 만든 후 꼬치에 끼워 바삭하게 구운 뒤 매콤달콤한 양념장을 발라주세요.
▶ 신선한 샐러드에 영양과 든든함을~
말랑떡으로 샐러드에 부족한 영양과 담백한 맛, 든든함을 더하세요.
...........................
느리게 느리게 정성을 다해 만들어요.
떡이 굳지 않고 말랑할 수 있는지 궁금하시죠. 말랑떡을 만들 때는 펀칭도 더욱 많이 하고 수분배합을 늘려 만든답니다. 그래서 멥쌀떡임에도 인공첨가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말랑하게 유지될 수 있는것이랍니다.
떡을 만들어 급랭 후 냉동보관하다가 주문과 동시에 아이스박스에 아이스팩과 함께 포장합니다. 배송 중 다소 녹을 수 있으나, 받으신 스티로폼 박스 안에 찬 기운이 남아 있다면 전혀 이상이 없으니 바로 냉동실에 보관해 주세요.
...........................
보관방법 및 소비기한
보관방법 :
수령 직후 반드시 냉동 보관해 주세요.
소비기한 :
냉동 보관 기준 제조일로부터 6개월입니다. (제품 별도 표기일까지)
...........................
생산자 이야기
전북 정읍시 칠보면에 자리한 농업회사법인 콩사랑(마을기업 싸리재)을 소개합니다. 싸리재는 농촌마을을 기반으로 한 가공 유통 전문 업체입니다. 원재료 입고부터 전처리, 반제품 생산,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관리하기에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답니다. 마을기업 싸리재에서 나오는 이익이 함께 생활하는 마을 주민들에게 직접 돌아가기 때문에 더욱 정성껏 만들고 있습니다. 어떤 화학적 첨가 없이, 원재료인 농산물만을 사용하여 정직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만들고 있습니다.